슬랙 주요 기능 가이드: 채널, 다이렉트 메시지(DM), 스레드, 허들 알아보기

슬랙(Slack)의 채널, 다이렉트 메시지(DM), 스레드, 허들 등 주요 기능의 사용 방법과 활용 팁을 설명합니다. 슬랙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소통하고 원활한 협업을 진행해 보세요.
김지원's avatar
Oct 23, 2025
슬랙 주요 기능 가이드: 채널, 다이렉트 메시지(DM), 스레드, 허들 알아보기

Slack(슬랙)은 많은 기업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협업툴로, 슬랙을 활용하면 업무 대화를 주제별로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효율적으로 소통할 수 있어요. 특히 채널, 다이렉트 메시지(DM), 스레드, 허들 등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어, 이를 목적에 맞게 활용하면 협업 과정에서의 불필요한 혼선과 반복 소통을 줄이고 업무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슬랙의 대표적인 핵심 기능들을 중심으로 각 기능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활용 팁과 함께 정리해드릴게요.

슬랙 채널(Channel)

채널은 특정 주제나 프로젝트별로 팀 대화를 나누는 공간이에요. 예를 들어 부서별 채널, 프로젝트별 채널을 만들어 팀원들이 관련된 모든 대화와 파일 공유를 한 곳에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채널은 기본적으로 워크스페이스 모든 멤버가 볼 수 있는 공개 채널과, 초대한 멤버만 볼 수 있는 비공개 채널로 나뉘어요. 사내 공지사항처럼 모두에게 열려야 하는 주제는 공개 채널로, 소수만 논의하는 민감한 사안은 비공개 채널로 만들 수 있습니다.

슬랙 채널 만드는 방법

  1. 슬랙 왼쪽 사이드바의 채널 섹션에 있는 + 채널 추가 버튼을 누르고 새 채널 생성을 선택해요.

  2. 새 채널의 이름을 정하고, 채널을 공개로 할지 비공개로 할지 선택해요. 팀 전체 공유가 필요하면 공개로, 특정 인원만 참여시키려면 비공개로 설정해요.

  3. 설정을 마쳤으면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채널이 만들어져요. 새 채널이 사이드바 채널 목록에 나타나고, 클릭하면 채널 대화 화면으로 들어갈 수 있어요.

슬랙 채널 초대하기

채널이 만들어지면 상단에 채널 이름 옆 초대 버튼이나 멤버 추가 기능으로 팀원을 채널에 초대할 수 있어요.

  1. 우측 상단에 있는 프로필 모양 버튼에서 사용자 추가 버튼을 누르고, 초대하고 싶은 사용자의 이름이나 메일을 입력해요.

  1. 추가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채널에 추가돼요.

    공개 채널인 경우 팀원이 사이드바 채널 브라우저를 통해 직접 찾아 들어올 수도 있어요.

슬랙 채널 활용 팁

슬랙 채널 알림 설정

채널마다 알림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요. 중요한 채널은 모든 새 메시지에 대해 알림을 받도록 설정하고, 덜 중요한 채널은 멘션이 있을 때만 알림이 오게 하거나 아예 채널 알림을 끄기 할 수 있습니다. 채널 화면 상단의 종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채널에 대한 알림 설정을 조정할 수 있어요. 필요에 따라 알림을 설정하면 잦은 알림으로 인한 방해를 줄이고 중요한 메시지를 놓치지 않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슬랙 채널 멘션(@)

멘션(@) 기능은 특정 상대에게 알림을 보내 대화 중 중요한 메시지를 놓치지 않도록 직접 호출하는 기능입니다. 다른 사람을 직접 호출할 수도 있고, 현재 온라인인 사람만 멘션하는 @here, 채널에 있는 모든 사람을 멘션하는 @channel 멘션도 사용할 수 이썽요. 여러 사람이 있는 채널에서 @here나 @channel 멘션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멘션을 너무 자주 사용하면 팀원에게 여러 번 푸시 알림이 가기 때문에 오히려 중요한 정보가 잊혀질 수 있어요. 불필요한 멘션을 줄이면 팀원들의 업무 집중도를 높일 수 있고, 꼭 필요한 알림만 전달되어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됩니다.

슬랙 대화 구조화

채널 대화가 활발해지면 여러 주제가 뒤섞일 수 있는데, 이때 스레드(Thread) 기능을 활용하면 좋아요. 관련 답변들은 스레드로 묶고, 채널엔 핵심 알림만 흐르도록 하면 채널이 훨씬 깔끔해집니다.

슬랙 스레드(Thread)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한 메시지 아래에 10개의 댓글이라고 표시된 부분이 있어요. 이것이 바로 스레드(Thread) 입니다. 해당 메시지에 대해 10개의 댓글이 스레드로 묶여 달려 있다는 의미예요. 팀 채널에 올린 메시지에 답변을 달아야 할 경우, 그냥 채널에 바로 댓글을 쓰면 대화가 뒤죽박죽 섞일 수 있지만 스레드를 이용하면 관련 답변들끼리 한 곳에 모여 정리돼요. 덕분에 메인 채널은 깔끔하게 유지되고, 필요한 논의는 스레드 안에서 정리하여 진행할 수 있어요.

슬랙 스레드 작성 방법

  1. 스레드를 달고 싶은 메시지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우측 상단에 여러 액션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모바일에선 메시지를 꾹 누르면 메뉴가 나와요). 말풍선 모양의 답글 추가 아이콘(스레드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2. 화면 오른쪽에 해당 메시지에 대한 스레드 패널이 열릴 거예요 (모바일에서는 새로운 대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이제 여기에 답장을 입력합니다. 이모티콘을 넣거나 파일을 첨부하는 등 일반 메시지와 동일하게 작성할 수 있어요.

  3. 작성한 답글을 다 입력했으면 전송 (종이비행기) 버튼을 눌러 스레드에 댓글을 올려요. 이때 모든 답글은 기본적으로 스레드 내부에만 추가되고 채널 대화창에는 표시되지 않아요.

    하지만 중요한 내용이라 채널 참여자 모두가 봐야 한다면, 전송 전에 입력창 아래쪽의 (채널 이름)으로도 전송 옵션을 체크하세요. 그러면 해당 답글이 채널에도 함께 게시되어 모두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스레드가 만들어지고, 선택한 그 메시지 아래에는 답글 1개처럼 스레드가 달린 개수가 표시됩니다. 채널에서 그 숫자를 클릭하면 우측에 스레드 대화가 열리면서 지금까지 달린 답글들을 볼 수 있어요. 새로운 답글을 추가하려면 동일하게 입력창에 입력 후 전송하면 됩니다.

슬랙 스레드 활용 팁

슬랙 스레드 목록 확인

내가 참여한 모든 스레드를 한눈에 보고 싶다면 Slack 사이드바 상단의 스레드 메뉴를 클릭하세요. 여기서 내가 작성했거나 팔로우 중인 스레드들을 모아서 볼 수 있어요. 새 답글이 달린 스레드는 목록에서 굵게 표시되고 상단에 올라오니, 읽지 않은 댓글이 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스레드 목록을 확인하면 놓친 대화가 없는지 챙길 수 있어요.

슬랙 스레드 알림 설정

기본적으로 내가 시작했거나 참여한 스레드에 새 댓글이 달리면 알림이 와요. 필요한 알림만 받고 싶다면, 스레드 우측 상단의 메뉴 버튼(⁝)을 눌러 댓글에 대한 알림 끄기를 선택하면 해당 스레드 알림을 받지 않을 수 있어요. 반대로 내가 멘션되지 않은 스레드라도 팔로우하고 싶다면 그 메뉴에서 새 댓글이 달리면 알림 받기를 선택하면 돼요.

슬랙 스레드 종료하기

스레드 대화가 충분히 진행되어 결론이 났다면, 마지막 답글에 결론이나 요약을 남겨주세요. 스레드가 길어지면 나중에 파악하기 어려운데, 맨 끝에 결과를 정리해 두면 모두가 합의된 내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요. 필요한 경우 정리된 스레드 내용을 채널에 공유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슬랙 다이렉트 메시지(DM)

다이렉트 메시지, 줄여서 DM은 특정 사람과 일대일로 나누는 개인 대화예요. 채널 바깥에서 이루어지는 1:1 대화로, 팀 전체에 공유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논의에 적합해요. 예를 들어 동료 한 명과 회의 일정을 다시 잡거나 빠르게 확인해야 할 개인 업무가 있을 때 DM을 보내면 됩니다. DM은 1:1뿐만 아니라, 최대 9명까지 참여시켜 작은 그룹 채팅을 할 수도 있어요.

다이렉트 메시지 보내는 방법

  1. 왼쪽 사이드바의 다이렉트 메시지 섹션에서연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새로운 메시지를 보낼 상대를 선택하는 창이 열려요 (모바일에서는 새 메시지 시작을 누르면 돼요).

  2. 대화하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검색한 뒤 선택해요. 한 사람뿐 아니라 여러 명을 추가하면 그룹 DM이 만들어져요. DM은 최대 9명까지 참여가 가능해요.

  3. 하단의 메시지 입력창에 보내고 싶은 내용을 입력해요. 파일이나 이모티콘을 첨부할 수도 있어요. 다 작성했으면 전송 (종이비행기) 버튼을 눌러 메시지를 보냅니다.

  4. 이렇게 시작한 DM 대화는 사이드바의 다이렉트 메시지 목록에 표시됩니다. 다시 해당 대화를 열고 싶으면 사이드바에서 그 사람 이름을 클릭하면 돼요.

다이렉트 메시지 활용 팁

대화 기록 관리

DM으로 주고받은 내용이나 자료는 나중에 찾기가 어려울 수 있어요. 중요한 파일이나 링크는 채널에 다시 공유하거나 이 대화에 고정기능을 활용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채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업무 관련 논의를 할 때는 가급적 DM보다 채널에서 대화하는 것을 권장해요. DM은 오직 대화 참여자들만 내용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공유가 필요한 정보는 채널로 전환하는 것을 추천해요. 관련된 이야기의 플로우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면 업무이해도가 높아지고, 결정 과정의 히스토리도 채널에 남아 추후에 참고할 수 있어요. DM은 외부에 공유하기 어려운 사항이나 개인적인 확인으로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슬랙 허들(Huddle)

허들은 Slack 안에서 곧바로 열리는 음성/화상 통화 기능으로, 별도 회의 링크나 프로그램 없이도 팀원들과 실시간으로 대화할 수 있어요. Slack 사이드바 상단의허들 메뉴를 클릭하면 허들을 시작할 수 있어요.

허들을 시작하면 해당 채널 또는 DM 대화 상단에 통화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창이 뜨고, 참여 가능한 사람들에게는 Slack이 알림을 보내줍니다. 채널에 있는 다른 멤버들은 상단에 나타난 참여 버튼을 눌러 허들에 들어올 수 있어요. 허들은 기본적으로 음성 모드로 시작하지만, 원하면 화면 하단에서 비디오를 켜서 얼굴을 보며 대화할 수도 있고, 화면 공유 기능을 사용해 현재 작업 중인 화면을 함께 볼 수도 있어요.

허들 시작하는 방법

채널에서 허들 시작: 채널 화면 우측 상단에 있는 헤드폰 아이콘을 클릭하세요. 채널 멤버들에게 채널에서 허들을 시작했습니다라는 안내가 가고, 원하면 모두 참여할 수 있어요.

DM에서 허들 시작: 1:1 또는 그룹 DM에서도 동일하게 대화 상단의 헤드폰 아이콘을 누르면 됩니다. 둘만 참여하는 통화라면 상대방에게 바로 콜이 가고, 수락하면 통화가 연결돼요.

허들을 시작한 후에는 화면 하단에 마이크 on/off, 비디오 on/off, 화면 공유, 이모티콘 리액션 등의 버튼이 나타납니다. 대화하면서 자유롭게 마이크를 끄거나 켤 수 있고, 필요할 때 비디오를 켜서 얼굴을 보며 이야기할 수도 있어요. 화면 공유를 클릭하면 내 화면 전체 또는 특정 앱 창을 선택해 다른 참가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어요.

허들 활용 팁

실시간 스레드

허들에서도 스레드 기능으로 통화하면서 중요한 링크를 그 채팅 창에 넣어두거나 메모를 남길 수도 있습니다. 이 채팅 내용은 허들이 끝난 후에도 해당 채널에 스레드 형태로 기록이 남기 때문에, 나중에 회의 내용을 찾아볼 때도 편리해요.

캔버스(Canvas) 기능

회의 중에 떠오른 아이디어나 회의 내용을 바로 정리하고 싶을 때는 캔버스 기능을 활용해보세요. 캔버스는 슬랙 내에서 바로 열 수 있는 공동 문서 공간으로, 회의 메모·할 일 목록·링크 등을 팀원과 함께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어요.

허들 창 하단의 캔버스 아이콘을 클릭하면 새 캔버스가 열려요. 회의 중 논의된 내용, 담당자, 마감일 등을 바로 정리해두면 회의록이 자동으로 남고, 체크리스트, 이미지, 링크 삽입도 가능해 별도 문서 툴 없이 슬랙 안에서 기록할 수 있어요. 회의가 끝난 뒤에도 해당 허들 캔버스는 채널 상단에 그대로 저장되어 언제든 다시 열어볼 수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Slack의 채널, 다이렉트 메시지, 스레드, 허들 기능과 활용 팁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슬랙 기능들의 활용법을 익혀두면 Slack에서의 협업 효율이 크게 올라갈 거예요. 특히 채널을 잘 구성하고 스레드로 대화를 정리하기 시작하면, 메시지가 많아져도 필요한 내용을 빠르게 찾을 수 있고, 모든 대화 기록이 자연스럽게 팀의 자산으로 축적됩니다. 또한 상황에 따라 DM으로 빠르게 1:1 소통하고, 허들로 실시간 소통을 진행하면 보다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Slack과 함께 원활한 소통으로 즐거운 협업하시길 바랍니다!

Share article

주식회사 허밍버즈(Hummingbirds Inc.)